본문 바로가기
색채학

색채학의 여러가지 접근법

by hyyek 2022. 9. 29.
반응형

 

색은 우리가 흔히 아는 예술 계통 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다루어지고 있어요.

이전 <문화와 색채 시리즈>에서 본 것처럼,

종교, 의학, 기상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고 해석도 하고 있죠.

 

문화와 색채_vol.1 빨간색

문화와 색채_vol.2 주황색

문화와 색채_vol.3 노랑색

 

오늘은 '색채학'을 바라보는 다양한 <접근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언어적 접근 

색채학의 언어적 접근은 색명(색이름) 체계를 개발하거나,

언어에 담긴 정서와 색채 고유의 이미지 사이의 연구 등 색채와 관련된 언어를 정의하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물리학적 접근

색채의 물리학적 접근은, 광원, 반사광, 투과광 등의 에너지 분포 양상과 자극 정도를 

물리적, 광학적으로 규명하는 방법으로, 주로 기자재(측색기, 노출계, 광원 측정기) 개발과 활용에 관한

기능적인 연구를 한다고 합니다.

 

화학적 접근

색채의 화학적 접근은, 물질적인 안료나 염료 잉크의 화학적인 분석, 분자 구조색의 정착,

색료의 합성법과 성질에 따른 변화를 규명하는 방법으로 조색(섞어서 색을 만드는 것), 색좌표(값),

도료의 종류와 특성, 색소의 개발과 관련있는 접근법입니다.

 

생리학적 접근

색채의 생리학적 접근은 눈에서 대뇌에 이르는 신경계통의 광화학적 활동을 규명하는 방법으로,

신경 조직, 망막, 시신경, 홍체 등 우리 몸의 조직과 관련 있는 연구를 말한답니다.

 

 

 

심리 물리학적 접근

색채의 심리 물리학적 접근은 말 그대로 심리학과 물리학을 함께 적용하여 접근하는 개념입니다.

색상, 명도, 채도의 세 가지 기본적인 색채 반응과 관련하여, 빛의 물리량과

그것에 대응하는 감각을 연구하고 자극과 반응의 관계를 측색을 통해  접근하는 방법입니다.

색지각이나 색맹, 또는 잠재의식적으로 색체에 영향을 주는 환경 요소로서의 접근을 연구하기도 합니다.

 

심리학적 접근

가장 많이 접하셨을 부분인데요, 개개인의 주관적인 감정 작용이나 과거의 경험에 의한 기억과 연상 작용,

혹은 색채에 대한 반응 과정과 활동을 규명하는 것입니다.

이미지 색채 언어, 언어적 접근, 색채 고유의 컨셉 추출, 서술어 연구 등의 언어학적 연구도 포함한답니다.

 

미학적 접근

색채의 미학적 접근이란, 색채의 삼속성 중 대비 및 조화의 작용, 또한 각 색채의 감성적인 내용,

디자인의 요소 혹은 디자인의 주체로서 표현 등을 색채를 통해 접근하는 것으로,

조형 연구와 깊은 관련이 있는 접근법입니다.

 

민속학적 접근

민속학적 접근법은 각 지역색과 풍토색, 지역 전통색에 대한 연구를

인류학적 측면과 더불어 연구하는 접근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특정 지역과 민족을 대상으로 하는 색채 계획이 있다면 반드시 고려해야 할 접근법이겠죠?

 

환경 및 건축적 접근

이 접근법은 환경 색채 연구를 주축으로 하는 접근법으로, 건축의 색채 디자인을 포함합니다.

또한 자연 속에 인공적인 환경을 건설할 때 고려되어야 할 자연 색채 연구를 중심으로 합니다.

자연과 인간의 공존이 화두가 되는 요즘, 더욱 중요시되는 건축의 한 축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컴퓨터 공학적 접근

요즘 같이 디지털 미디어와 메타버스가 각광받는 시대에 더욱 중요해지는 접근법입니다.

디지털 디바이스 상의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개발과

각 디바이스 간의 색채 재현과 표현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합니다.

 

 

 

사실 위의 여러 접근법들은 별개로 나누어 생각할 수 없습니다. 

프로젝트나 색채 계획을 준비할 때, 우리도 알게 모르게 이 다양한 접근법들을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거든요.

 

우리가 립스틱을 만든다고 가정했을 때,

우리는 타겟 소비자가 성장한 문화나 자연환경을 고려하고

제품의 컬러에서 어떤 감성을 느끼게 될지 고려하고

컬러의 네이밍이나 전체적인 톤앤무드를 통해 브랜드의 컨셉도 전달할 수 있습니다.

(브랜드와 마케팅에 대한 부분도 나중에 따로 다루어보도록 할게요.)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과정들을 색채학의 접근법 별로 나누어보니 새삼 새롭게 느껴지네요.

재미있으셨길 바라며, 저희는 다른 글로 찾아올게요!

반응형

댓글